H-1B 비자는 과학·기술·공학·수학 분야의 전문 직종에 적용되는 비자로, 추첨을 통해 1년에 8만 5천 건만 발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본적으로 3년 체류가 허용되며, 연장도 가능하고, 영주권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각 19일, 이 H-1B 비자의 수수료를 10만 달러, 우리 돈 약 1억 4천만 원으로 크게 올리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수수료가 천 달러 수준이니까 100배 가량 올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이 금액은 한 번 내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. <br /> <br />한사람 당 1년 치의 금액이어서 최대 6년의 체류기간 동안 매년 같은 금액의 수수료를 내고 갱신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기업들이 해외인력을 미국으로 들여오는 데 더 신중해질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상무장관의 설명을 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인터뷰: 하워드 러트닉 / 미국 상무장관] <br />"갱신할 때든, 첫 신청할 때든 기업은 그 사람이 정부에 매년 10만 달러를 낼 만큼 가치가 있는지를 결정해야 합니다."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H-1B 비자 발급이 미국인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인식을 갖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업들이 H-1B 비자를 활용해서 저렴한 비용으로 외국 인력을 데려오면서 미국인의 일자리가 잠식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H-1B 비자를 받은 사람들 중에는 중국인과 인도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<br /> <br />추첨 방식으로 배정하다 보니 회사들이 지나치게 많이 신청하는 부작용이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AP통신은 이 비자가 미국 내에서 채용하기 힘든 유능한 전문직을 해외에서 유치하기 위한 것인데 실제론 미국인보다 적은 연봉으로도 일하려고 하는 외국인을 들여오는 파이프라인으로 변모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즉 기업들이 고임금의 미국인을 쓰는 대신 저임금의 외국인을 미국에 데려오는 걸 막아서 미국인의 일자리를 지키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수수료를 매년 물리겠다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도 분명하게 짚었습니다. 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인터뷰: 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 />"10만 달러를 내고 싶지 않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미국인을 고용하세요. 이렇게 미국인 고용 장려책이 되는 겁니다." <br /> <br /> 최근 조지아주 구금 사태 이후 한미 양측은 비자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입장에선 대미 투자 기업의 전문 기술 인력이 미국에서 안정적으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92011465220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